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 문제 풀이/백준

백준 10157 자리배정 Kotlin (구현)

by 옹구스투스 2022. 2. 1.
반응형

문제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0157

 

10157번: 자리배정

첫 줄에는 공연장의 격자 크기를 나타내는 정수 C와 R이 하나의 공백을 사이에 두고 차례대로 주어진다. 두 값의 범위는 5 ≤ C, R ≤ 1,000이다. 그 다음 줄에는 어떤 관객의 대기번호 K가 주어진다.

www.acmicpc.net

문제

어떤 공연장에는 가로로 C개, 세로로 R개의 좌석이 C×R격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좌석의 번호는 해당 격자의 좌표 (x,y)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보자. 아래 그림은 가로 7개, 세로 6개 좌석으로 구성된 7×6격자형 좌석배치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에서 각 단위 사각형은 개별 좌석을 나타내며, 그 안에 표시된 값 (x,y)는 해당 좌석의 번호를 나타낸다. 가장 왼쪽 아래의 좌석번호는 (1,1)이며, 가장 오른쪽 위 좌석의 번호는 (7,6)이다.

이 공연장에 입장하기 위하여 많은 사람이 대기줄에 서있다. 기다리고 있는 사람들은 제일 앞에서부터 1, 2, 3, 4, . 순으로 대기번호표를 받았다. 우리는 대기번호를 가진 사람들에 대하여 (1,1)위치 좌석부터 시작하여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면서 비어있는 좌석에 관객을 순서대로 배정한다. 이것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첫 번째 사람, 즉 대기번호 1인 사람은 자리 (1,1)에 배정한다. 그 다음에는 위쪽 방향의 좌석으로 올라가면서 다음 사람들을 배정한다. 만일 더 이상 위쪽 방향으로 빈 좌석이 없으면 오른쪽으로 가면서 배정한다. 오른쪽에 더 이상 빈자리가 없으면 아래쪽으로 내려간다. 그리고 아래쪽에 더 이상 자리가 없으면 왼쪽으로 가면서 남은 빈 좌석을 배정한다. 이 후 왼쪽으로 더 이상의 빈 좌석이 없으면 다시 위쪽으로 배정하고, 이 과정을 모든 좌석이 배정될 때까지 반복한다. 

아래 그림은 7×6공연장에서 대기번호 1번부터 42번까지의 관객이 좌석에 배정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여러분은 공연장의 크기를 나타내는 자연수 C와 R이 주어져 있을 때, 대기 순서가 K인 관객에게 배정될 좌석 번호 (x,y)를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해야 한다. 

입력

첫 줄에는 공연장의 격자 크기를 나타내는 정수 C와 R이 하나의 공백을 사이에 두고 차례대로 주어진다. 두 값의 범위는 5 ≤ C, R ≤ 1,000이다. 그 다음 줄에는 어떤 관객의 대기번호 K가 주어진다. 단 1 ≤ K ≤ 100,000,000이다.

출력

입력으로 제시된 대기번호 K인 관객에게 배정될 좌석번호 (x,y)를 구해서 두 값, x와 y를 하나의 공백을 사이에 두고 출력해야 한다. 만일 모든 좌석이 배정되어 해당 대기번호의 관객에게 좌석을 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0(숫자 영)을 출력해야 한다. 

알고리즘 분류

풀이

달팽이 문제다.

이동 방향은 상,우,하,좌이고, 시작점은 그래프의 좌측 하단이다.

그래프를 벗어나는 경우, 칸에 이미 값이 있는 경우마다 방향을 바꿔준다.

이때 방향은 상우하좌를 반복한다.

만약 k가 그래프 전체 크기보다 크다면 k번째 사람은 앉을 수 없으니 바로 return하고,

k가 그래프 전체 크기보다 작거나 같다면 달팽이로 인덱스를 구해준다.

여기서 답으로 원하는 값은 x,y값임을 유의하자..!!

코드

val br = System.`in`.bufferedReader()

val dirXY = arrayOf(arrayOf(-1, 0), arrayOf(0, 1), arrayOf(1, 0), arrayOf(0,-1))

fun main() = with(System.out.bufferedWriter()) {

    val (c,r) = br.readLine().split(' ').map{it.toInt()}
    val graph = Array(r){IntArray(c)}
    val k = br.readLine().toInt()

    if(k>c*r){
        write("0")
        close()
        return
    }
    var idx = c*r
    var curNum = 1
    var dir =0

    while(true) {

        val cr = idx / c + dirXY[dir][0]
        val cc = idx % c + dirXY[dir][1]

        //방향 전환
        if (cr !in 0 until r || cc !in 0 until c || graph[cr][cc] != 0) {
            dir = ((dir+1)%4)
            continue
        }
        if(curNum==k){
            write("${cc + 1} ${r-cr}")
            break
        }
        idx = cr*c + cc
        graph[cr][cc] = curNum++

    }
    close()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