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 문제 풀이/백준

백준 2477 참외밭 Kotlin (기하학)

by 옹구스투스 2022. 1. 31.
반응형

문제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2477

 

2477번: 참외밭

첫 번째 줄에 1m2의 넓이에 자라는 참외의 개수를 나타내는 양의 정수 K (1 ≤ K ≤ 20)가 주어진다. 참외밭을 나타내는 육각형의 임의의 한 꼭짓점에서 출발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둘레를 돌면서 지

www.acmicpc.net

문제

시골에 있는 태양이의 삼촌 댁에는 커다란 참외밭이 있다. 문득 태양이는 이 밭에서 자라는 참외가 도대체 몇 개나 되는지 궁금해졌다. 어떻게 알아낼 수 있는지 골똘히 생각하다가 드디어 좋은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유레카! 1m2의 넓이에 자라는 참외 개수를 헤아린 다음, 참외밭의 넓이를 구하면 비례식을 이용하여 참외의 총개수를 구할 수 있다.

1m2의 넓이에 자라는 참외의 개수는 헤아렸고, 이제 참외밭의 넓이만 구하면 된다. 참외밭은 ㄱ-자 모양이거나 ㄱ-자를 90도, 180도, 270도 회전한 모양(┏, ┗, ┛ 모양)의 육각형이다. 다행히도 밭의 경계(육각형의 변)는 모두 동서 방향이거나 남북 방향이었다. 밭의 한 모퉁이에서 출발하여 밭의 둘레를 돌면서 밭경계 길이를 모두 측정하였다.

예를 들어 참외밭이 위 그림과 같은 모양이라고 하자. 그림에서 오른쪽은 동쪽, 왼쪽은 서쪽, 아래쪽은 남쪽, 위쪽은 북쪽이다. 이 그림의 왼쪽위 꼭짓점에서 출발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남쪽으로 30m, 동쪽으로 60m, 남쪽으로 20m, 동쪽으로 100m, 북쪽으로 50m, 서쪽으로 160m 이동하면 다시 출발점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위 그림의 참외밭  면적은 6800m2이다. 만약 1m2의 넓이에 자라는 참외의 개수가 7이라면, 이 밭에서 자라는 참외의 개수는 47600으로 계산된다.

1m2의 넓이에 자라는 참외의 개수와, 참외밭을 이루는 육각형의 임의의 한 꼭짓점에서 출발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둘레를 돌면서 지나는 변의 방향과 길이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이 참외밭에서 자라는 참외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 번째 줄에 1m2의 넓이에 자라는 참외의 개수를 나타내는 양의 정수 K (1 ≤ K ≤ 20)가 주어진다. 참외밭을 나타내는 육각형의 임의의 한 꼭짓점에서 출발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둘레를 돌면서 지나는 변의 방향과 길이 (1 이상 500 이하의 정수) 가 둘째 줄부터 일곱 번째 줄까지 한 줄에 하나씩 순서대로 주어진다. 변의 방향에서 동쪽은 1, 서쪽은 2, 남쪽은 3, 북쪽은 4로 나타낸다.

출력

첫째 줄에 입력으로 주어진 밭에서 자라는 참외의 수를 출력한다.

알고리즘 분류

풀이

기하학 구현 문제이다.

딮한 기하학은 아니라 어찌저찌 풀 수 있었다.

기하학은 어렵다.

이 문제를 쉽게 접근하는 방법은, 전체 사각형에서 빈 사각형을 빼서 면적을 구하는 것이다.

처음엔 면적을 큰 사각형과 작은 사각형으로 나누어 구하려다가 코드가 길어질 것 같아 생각을 바꿨다.

전체 사각형에서 빈 사각형을 빼려는 접근은 전체 사각형은 일단 구하기 쉽다.

그러면 빈 사각형을 구하는 것이 쉬워야 이 방법을 채택할 근거가 생긴다.

빈 사각형은 어떻게 구할까?

위의 그림에서 빈 사각형의 가로는 60 세로는 20이다.

빈 사각형의 가로의 좌(시계 방향), 우(반시계 방향)을 보면 둘 다 세로이고, 30, 20이다.

빈 사각형의 세로의 좌(시계 방향), 우(반시계 방향)을 보면 둘 다 가로이고 60, 100이다.

즉, 기준 변의 좌,우의 합이 maxHigh이거나 maxWidth인 변을 찾는 것으로 빈 사각형의 가로와 세로를 찾을 수 있다.

 

입력을 배열로 받았을 때, index 0인 변의 좌, 우도 확인해야 하는 것을 유의하자

(배열의 범위를 벗어나는 인덱스에 대한 처리)

 

실버4 치고 꽤 고민을 하게 한 문제이다.

 

코드

val br = System.`in`.bufferedReader()

fun main() = with(System.out.bufferedWriter()){

    val k = br.readLine().toInt()
    val arr = Array(6){Pair(0,0)}
    var maxHigh = 0
    var maxWidth = 0
    for(i in arr.indices){
        val (dir, value) = br.readLine().split(' ').map{it.toInt()}
        arr[i] = Pair(dir,value)
        when(dir){
            1,2 ->{
                maxWidth = maxWidth.coerceAtLeast(value)
            }
            3,4 ->{
                maxHigh = maxHigh.coerceAtLeast(value)
            }
        }

    }
    var emptyHigh = 0
    var emptyWidth = 0
    for(i in arr.indices){
        if(arr[i].first <=2){
            if(arr[(i+5)%6].second+arr[(i+1)%6].second == maxHigh){
                emptyWidth = arr[i].second
            }
        }
        else{
            if(arr[(i+5)%6].second+arr[(i+1)%6].second == maxWidth){
                emptyHigh = arr[i].second
            }
        }
    }

    write("${(maxWidth*maxHigh - emptyHigh * emptyWidth) * k}")

    close()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