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935
문제
후위 표기식과 각 피연산자에 대응하는 값들이 주어져 있을 때, 그 식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피연산자의 개수(1 ≤ N ≤ 26) 가 주어진다. 그리고 둘째 줄에는 후위 표기식이 주어진다. (여기서 피연산자는 A~Z의 영대문자이며, A부터 순서대로 N개의 영대문자만이 사용되며, 길이는 100을 넘지 않는다) 그리고 셋째 줄부터 N+2번째 줄까지는 각 피연산자에 대응하는 값이 주어진다. 3번째 줄에는 A에 해당하는 값, 4번째 줄에는 B에 해당하는값 , 5번째 줄에는 C ...이 주어진다, 그리고 피연산자에 대응 하는 값은 1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후위 표기식을 앞에서부터 계산했을 때, 식의 결과와 중간 결과가 -20억보다 크거나 같고, 20억보다 작거나 같은 입력만 주어진다.
출력
계산 결과를 소숫점 둘째 자리까지 출력한다.
알고리즘 분류
풀이
트리, 스택 문제이다.
후위 표기식을 계산하는 법만 알면 스택으로 쉽게 풀 수 있다.
스택을 사용할 때 특별한 스킬이 필요하지도 않다.
정말 후위 표기식 계산을 알고 스택 사용법 정도만 알아도 쉽게 풀 수 있다.
추가적으로 영대문자와 숫자를 매핑하는 건 map을 쓰든 배열을 쓰든 상관 없다.
근데 String이 아니라 Char이니 배열을 쓰는 것이 더 ㅎㅎ
hashMap의 get과 배열의 get은 같은 시간복잡도를 갖지만 배열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에 귀찮지 않다면 배열을 쓰는 게
더 짜세가 나지 않을까ㅎㅎ
map을 쓰냐, 배열을 쓰냐가 여기선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본인이 덜 귀찮고 빨리 만들 수 있는 것을 쓰면 되는데, Char의 아스키 값을 확인해서 딱 26 사이즈만 배열을 잡긴 귀찮기 때문에 대충 200으로 잡고 사용했다.
예제 1번을 숫자로 바꾸면 123*+45/-이다.
이를 계산하는 방법은 앞에서부터 스택에 넣는다
1.
1
2.
2
1
3.
3
2
1
4. 연산자가 들어오면 위에서 두 개를 꺼내 계산한다. 이때 가장 위에 있는 값이 오른쪽으로 들어간다.
2*3=6
1
5.
1+6=7
6.
4
7
7.
5
4
7
7.
4/5 = 0.8
7
8.
7-0.8 = 6.2
답 = 6.2
출력은 소숫점 둘째 자리까지!
코드
import java.util.*
val br = System.`in`.bufferedReader()
val set = DoubleArray(200)
fun cal(l: Double, r: Double, ch: Char): Double = when(ch){
'*'->{
l*r
}
'-'->{
l-r
}
'+'->{
l+r
}
else->{
l/r
}
}
fun main() = with(System.out.bufferedWriter()) {
//input
val n = br.readLine().toInt()
val input = br.readLine()
val stk = Stack<Double>()
for(i in 0 until n){
//char to int (to.int())는 deprecated => .code로 대응
('A'+i).code
set[('A'+i).code] = br.readLine().toDouble()
}
//solve 후위->중위
for(ch in input){
if(ch.isLetter()){
stk.push(set[ch.code])
}
else{
val r =stk.pop()
val l = stk.pop()
stk.push(cal(l,r,ch))
}
}
//output
write(String.format("%.2f",stk.pop()))
close()
}
'알고리즘 문제 풀이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5681 트리와 쿼리 Kotlin (dp) (0) | 2022.04.01 |
---|---|
백준 4358 생태학 Kotlin (map,트라이) (0) | 2022.03.31 |
백준 17471 게리맨더링 Kotlin (조합+bfs) (0) | 2022.03.27 |
백준 18868 멀티버스Ⅰ Kotlin (완전탐색) (0) | 2022.03.19 |
백준 17427 약수의 합 2 Kotlin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0) | 2022.03.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