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 문제 풀이/백준

백준 17396 백도어 Kotlin (다익스트라)

by 옹구스투스 2022. 7. 27.
반응형

문제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7396

 

17396번: 백도어

첫 번째 줄에 분기점의 수와 분기점들을 잇는 길의 수를 의미하는 두 자연수 N과 M이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1 ≤ N ≤ 100,000, 1 ≤ M ≤ 300,000) 두 번째 줄에 각 분기점이 적의 시야에 보이는

www.acmicpc.net

문제

유섭이는 무척이나 게으르다. 오늘도 할 일을 모두 미뤄둔 채 열심히 롤을 하던 유섭이는 오늘까지 문제를 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러나 게임은 시작되었고 지는 걸 무척이나 싫어하는 유섭이는 어쩔 수 없이 백도어를 해 게임을 최대한 빠르게 끝내기로 결심하였다.

최대한 빨리 게임을 끝내고 문제를 출제해야 하기 때문에 유섭이는 최대한 빨리 넥서스가 있는 곳으로 달려가려고 한다. 유섭이의 챔피언은 총 N개의 분기점에 위치할 수 있다. 0번째 분기점은 현재 유섭이의 챔피언이 있는 곳을, N-1 번째 분기점은 상대편 넥서스를 의미하며 나머지 1, 2, ..., N-2번째 분기점은 중간 거점들이다. 그러나 유섭이의 챔피언이 모든 분기점을 지나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백도어의 핵심은 안 들키고 살금살금 가는 것이기 때문에 적 챔피언 혹은 적 와드(시야를 밝혀주는 토템), 미니언, 포탑 등 상대의 시야에 걸리는 곳은 지나칠 수 없다.

입력으로 각 분기점을 지나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와 각 분기점에서 다른 분기점으로 가는데 걸리는 시간이 주어졌을 때, 유섭이가 현재 위치에서 넥서스까지 갈 수 있는 최소 시간을 구하여라.

입력

첫 번째 줄에 분기점의 수와 분기점들을 잇는 길의 수를 의미하는 두 자연수 N과 M이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1 ≤ N ≤ 100,000, 1 ≤ M ≤ 300,000)

두 번째 줄에 각 분기점이 적의 시야에 보이는지를 의미하는 N개의 정수 a0, a1, ..., aN-1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ai가 0이면 i 번째 분기점이 상대의 시야에 보이지 않는다는 뜻이며, 1이면 보인다는 뜻이다. 추가적으로 a0 = 0, aN-1 = 1이다., N-1번째 분기점은 상대 넥서스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상대의 시야에 보이게 되며, 또 유일하게 상대 시야에 보이면서 갈 수 있는 곳이다.

다음 M개의 줄에 걸쳐 세 정수 a, b, t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0 ≤ a, b < N, a  b, 1 ≤ t ≤ 100,000) 이는 a번째 분기점과 b번째 분기점 사이를 지나는데 t만큼의 시간이 걸리는 것을 의미한다. 연결은 양방향이며, 한 분기점에서 다른 분기점으로 가는 간선은 최대 1개 존재한다.

출력

첫 번째 줄에 유섭이의 챔피언이 상대 넥서스까지 안 들키고 가는데 걸리는 최소 시간을 출력한다. 만약 상대 넥서스까지 갈 수 없으면 -1을 출력한다.

알고리즘 분류

풀이

간단한 다익스트라 문제이다.

정말 다익스트라 기본 문제이기 때문에 다익스트라에 대한 개념을 안다면 쉽게 풀 수 있다.

다른 점은 그냥 시야라는 조건 때문에 해당 분기점에 갈 수 있는지 없는지 체크를 해 주어야 한다.

주의할 점은 넥서스(n-1 노드)는 항상 시야가 보이기 때문에 n-1인 경우를 제외한 노드들만 시야가 있는 경우 탐색을 스킵해 주어야 한다.

 

코드

import java.util.*
val br = System.`in`.bufferedReader()
fun getIntList() = br.readLine().split(' ').map { it.toInt() }
fun getInt() = br.readLine().toInt()

var n = 0
var m = 0
lateinit var canLook: IntArray
lateinit var edge: Array<ArrayList<Pair<Int, Long>>>
lateinit var dp: LongArray
fun dijkstra(): Long {

    val pq = PriorityQueue<Pair<Int, Long>> { before, after ->
        when {
            before.second < after.second -> -1
            before.second == after.second -> 0
            else -> 1
        }
    }

    pq.add(Pair(0, 0))

    while (pq.isNotEmpty()) {
        val cur = pq.poll()
        if (cur.second > dp[cur.first]) continue
        for (next in edge[cur.first]) {
            if (canLook[next.first] == 1 && next.first != n - 1) continue

            val nextCost = cur.second + next.second
            if (dp[next.first] <= nextCost) continue
            dp[next.first] = nextCost
            pq.add(Pair(next.first, nextCost))
        }
    }

    return dp[n - 1]
}

fun main() = with(System.out.bufferedWriter()) {
    //input
    getIntList().also {
        n = it[0]
        m = it[1]
    }
    canLook = getIntList().toIntArray()
    edge = Array(n) { ArrayList<Pair<Int, Long>>() }
    dp = LongArray(n) { Long.MAX_VALUE }
    repeat(m){
        val (a, b, t) = getIntList()
        edge[a].add(Pair(b, t.toLong()))
        edge[b].add(Pair(a, t.toLong()))
    }
    //solve
    var answer: Long = dijkstra()

    //output
    if (answer == Long.MAX_VALUE) {
        answer = -1L
    }
    write("$answer")
    close()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