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 문제 풀이/백준

백준 2589 보물섬 Kotlin (bfs)

by 옹구스투스 2022. 2. 11.
반응형

문제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2589

 

2589번: 보물섬

보물섬 지도를 발견한 후크 선장은 보물을 찾아나섰다. 보물섬 지도는 아래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모양이며 여러 칸으로 나뉘어져 있다. 각 칸은 육지(L)나 바다(W)로 표시되어 있다. 이 지도에서

www.acmicpc.net

 

문제

보물섬 지도를 발견한 후크 선장은 보물을 찾아나섰다. 보물섬 지도는 아래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모양이며 여러 칸으로 나뉘어져 있다. 각 칸은 육지(L)나 바다(W)로 표시되어 있다. 이 지도에서 이동은 상하좌우로 이웃한 육지로만 가능하며, 한 칸 이동하는데 한 시간이 걸린다. 보물은 서로 간에 최단 거리로 이동하는데 있어 가장 긴 시간이 걸리는 육지 두 곳에 나뉘어 묻혀있다. 육지를 나타내는 두 곳 사이를 최단 거리로 이동하려면 같은 곳을 두 번 이상 지나가거나, 멀리 돌아가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이 지도가 주어졌다면 보물은 아래 표시된 두 곳에 묻혀 있게 되고, 이 둘 사이의 최단 거리로 이동하는 시간은 8시간이 된다.

보물 지도가 주어질 때, 보물이 묻혀 있는 두 곳 간의 최단 거리로 이동하는 시간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보물 지도의 세로의 크기와 가로의 크기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이어 L과 W로 표시된 보물 지도가 아래의 예와 같이 주어지며, 각 문자 사이에는 빈 칸이 없다. 보물 지도의 가로, 세로의 크기는 각각 50이하이다.

출력

첫째 줄에 보물이 묻혀 있는 두 곳 사이를 최단 거리로 이동하는 시간을 출력한다.

알고리즘 분류

풀이

문제를 읽어보면 최소 거리 중에 가장 큰 값을 찾아야 하므로 bfs로 완전 탐색을 돌려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완전 탐색이 가능한지

입력의 크기를 보자. O(50 * 50 * 50)으로 가능하다.

풀이는 다음과 같다.

주어진 그래프에서 L이 적힌 모든 좌표에서 bfs를 돌린다.

각 bfs에서 최단 거리로 이동한 최대 거리로 answer를 갱신한다/

출력한다.

끝.

간단한 bfs문제였다. 실버로 내려도 될듯하다.

 

코드

import java.util.*

val br = System.`in`.bufferedReader()
val dir = arrayOf(arrayOf(1, 0), arrayOf(0, 1), arrayOf(-1, 0), arrayOf(0, -1))
lateinit var graph: Array<String>

data class Node(
    val r: Int,
    val c: Int,
    val dis: Int
)

fun bfs(r: Int, c: Int, n: Int, m: Int, visited: Array<BooleanArray>): Int {
    val q: Queue<Node> = LinkedList()
    q.add(Node(r, c, 0))
    visited[r][c] = true
    var answer = 0

    while (q.isNotEmpty()) {
 
        val (cr, cc,dis) = q.poll()
        answer = answer.coerceAtLeast(dis)
        for (j in dir.indices) {
            val nr = cr + dir[j][0]
            val nc = cc + dir[j][1]
            if (nr !in 0 until n || nc !in 0 until m) continue
            if (visited[nr][nc]) continue
            if (graph[nr][nc] == 'W') continue
            q.add(Node(nr, nc,dis+1))
            visited[nr][nc] = true
        }

    }

    return answer
}

fun main() = with(System.out.bufferedWriter()) {

    //input
    val (n, m) = br.readLine().split(' ').map { it.toInt() }
    graph = Array(n) { br.readLine() }
    var answer = 0

    //solve
    //그래프의 모든 L에서 bfs 시작 최대 50 * 50 * 50
    var lCnt = 0
    for (i in 0 until n) {
        for (j in 0 until m) {
            if (graph[i][j] == 'L') {
                answer = answer.coerceAtLeast(bfs(i, j, n, m, Array(n) { BooleanArray(m) }))
                lCnt++
            }
        }
    }
    //output
    write("$answer")
    close()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