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 문제 풀이/백준

백준 9019 DSLR Kotlin (bfs)

by 옹구스투스 2021. 12. 28.
반응형

문제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9019

 

9019번: DSLR

네 개의 명령어 D, S, L, R 을 이용하는 간단한 계산기가 있다. 이 계산기에는 레지스터가 하나 있는데, 이 레지스터에는 0 이상 10,000 미만의 십진수를 저장할 수 있다. 각 명령어는 이 레지스터에

www.acmicpc.net

문제

네 개의 명령어 D, S, L, R 을 이용하는 간단한 계산기가 있다. 이 계산기에는 레지스터가 하나 있는데, 이 레지스터에는 0 이상 10,000 미만의 십진수를 저장할 수 있다. 각 명령어는 이 레지스터에 저장된 n을 다음과 같이 변환한다. n의 네 자릿수를 d1, d2, d3, d4라고 하자(즉 n = ((d1 × 10 + d2) × 10 + d3) × 10 + d4라고 하자)

  1. D: D 는 n을 두 배로 바꾼다. 결과 값이 9999 보다 큰 경우에는 10000 으로 나눈 나머지를 취한다. 그 결과 값(2n mod 10000)을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2. S: S 는 n에서 1 을 뺀 결과 n-1을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n이 0 이라면 9999 가 대신 레지스터에 저장된다.
  3. L: L 은 n의 각 자릿수를 왼편으로 회전시켜 그 결과를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이 연산이 끝나면 레지스터에 저장된 네 자릿수는 왼편부터 d2, d3, d4, d1이 된다.
  4. R: R 은 n의 각 자릿수를 오른편으로 회전시켜 그 결과를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이 연산이 끝나면 레지스터에 저장된 네 자릿수는 왼편부터 d4, d1, d2, d3이 된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L 과 R 명령어는 십진 자릿수를 가정하고 연산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서 n = 1234 라면 여기에 L 을 적용하면 2341 이 되고 R 을 적용하면 4123 이 된다.

여러분이 작성할 프로그램은 주어진 서로 다른 두 정수 A와 B(A ≠ B)에 대하여 A를 B로 바꾸는 최소한의 명령어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이다. 예를 들어서 A = 1234, B = 3412 라면 다음과 같이 두 개의 명령어를 적용하면 A를 B로 변환할 수 있다.

1234 →L 2341 →L 3412
1234 →R 4123 →R 3412

따라서 여러분의 프로그램은 이 경우에 LL 이나 RR 을 출력해야 한다.

n의 자릿수로 0 이 포함된 경우에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서 1000 에 L 을 적용하면 0001 이 되므로 결과는 1 이 된다. 그러나 R 을 적용하면 0100 이 되므로 결과는 100 이 된다.

입력

프로그램 입력은 T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구성된다. 테스트 케이스 개수 T 는 입력의 첫 줄에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로는 두 개의 정수 A와 B(A ≠ B)가 공백으로 분리되어 차례로 주어지는데 A는 레지스터의 초기 값을 나타내고 B는 최종 값을 나타낸다. A 와 B는 모두 0 이상 10,000 미만이다.

출력

A에서 B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명령어 나열을 출력한다. 가능한 명령어 나열이 여러가지면, 아무거나 출력한다.

알고리즘 분류

풀이

from이라는 숫자에서 D,S,L,R 명령을 통해 to라는 숫자를 만드는 최소 횟수를 구해야 하기 때문에 bfs로 풀 수 있다.

bfs에 대해 안다면 딱히 설명할 게 없다.

문제에서 0을 주의하라 해서 String 형으로 풀었었는데 생각해보니 굳이 String을 쓸 필요가 없었다.

나머진 그냥 D,S,L,R을 구현하여 bfs를 돌리면 되는 간단한 문제이다.

bfs 종료 조건은 현재 노드가 아닌, 다음 노드에서 확인하는 걸로 탐색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현재 노드가 to와 같으면 종료'로 하면 이미 답을 찾았어도, 이전에 쌓인 큐를 모두 pop하고 나서야 정답을 출력하기 때문이다. 

코드

import java.util.*
val br = System.`in`.bufferedReader()

fun bfs(from : Int, to : Int, visited : BooleanArray) : String{

    val q : Queue<Pair<Int,String>> = LinkedList<Pair<Int,String>>()
    q.add(Pair(from,""))
    visited[from]=true

    while(q.isNotEmpty()){
        val cur = q.poll()
        val curNum = cur.first
        //D
        var next = (curNum*2)%10000
        if(next==to){
            return cur.second+"D"
        }
        if(!visited[next]){
            q.add(Pair(next,cur.second+"D"))
            visited[next]=true
        }
        //S
        next = if(curNum-1 <0) 9999 else curNum-1
        if(next==to){
            return cur.second+"S"
        }
        if(!visited[next]){
            q.add(Pair(next,cur.second+"S"))
            visited[next]=true
        }
        //L
        next = (curNum%1000)*10+curNum/1000
        if(next==to){
            return cur.second+"L"
        }
        if(!visited[next]){
            q.add(Pair(next,cur.second+"L"))
            visited[next]=true
        }
        //R
        next = (curNum%10)*1000+(curNum/10)%1000
        if(next==to){
            return cur.second+"R"
        }
        if(!visited[next]) {
            q.add(Pair(next, cur.second +"R"))
            visited[next] = true
        }
    }
    return "NO"
}

fun main() = with(System.out.bufferedWriter()){

    var t = br.readLine().toInt()
    for(i in 0 until t){
        val (from, to) = br.readLine().split(' ').map{it.toInt()}
        val visited = BooleanArray(10000)
        write("${bfs(from,to,visited)}\n")
    }
    close()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