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 문제 풀이/백준

백준 11403 경로 찾기 c++ (플로이드 와샬)

by 옹구스투스 2021. 11. 6.
반응형

문제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1403

 

11403번: 경로 찾기

가중치 없는 방향 그래프 G가 주어졌을 때, 모든 정점 (i, j)에 대해서, i에서 j로 가는 경로가 있는지 없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문제

가중치 없는 방향 그래프 G가 주어졌을 때, 모든 정점 (i, j)에 대해서, i에서 j로 가는 경로가 있는지 없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 (1 ≤ N ≤ 1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 줄에는 그래프의 인접 행렬이 주어진다. i번째 줄의 j번째 숫자가 1인 경우에는 i에서 j로 가는 간선이 존재한다는 뜻이고, 0인 경우는 없다는 뜻이다. i번째 줄의 i번째 숫자는 항상 0이다.

출력

총 N개의 줄에 걸쳐서 문제의 정답을 인접행렬 형식으로 출력한다. 정점 i에서 j로 가는 경로가 있으면 i번째 줄의 j번째 숫자를 1로, 없으면 0으로 출력해야 한다.

알고리즘 분류

풀이

간선이 인접 행렬 그래프의 형태로 주어지는 문제는 오랜만에 보는 것 같다.

주어진 입력을 그대로 인접 행렬 그래프로 받아서, i에서 k로 가고, k에서 j로 가는 간선이 있으면 i ->j의 경로가 있다고 판단하고, 이를 입력받은 그래프에 그대로 저장해가며 갱신하면 된다.

i에서 i로 가는 경우도 1로 출력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입력받은 그래프에 그대로 플로이드 와샬을 하면 된다.

 

코드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n;
bool edge[100][100];

int main() {
	ios::sync_with_stdio(false);
	cin.tie(0);
	cout.tie(0);

	cin >> n;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n; j++) {
			cin >> edge[i][j];
		}
	}

	for (int k = 0; k < n; k++) {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n; j++) {
				if (edge[i][k] && edge[k][j]) {
					edge[i][j] = true;
				}
			}
		}
	}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n; j++) {
			cout << edge[i][j] << ' ';
		}
		cout << '\n';
	}
	return 0;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