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백준 2529 부등호 Kotlin (순열)

by 옹구스투스 2022. 4. 19.
반응형

문제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2529

 

2529번: 부등호

두 종류의 부등호 기호 ‘<’와 ‘>’가 k개 나열된 순서열 A가 있다. 우리는 이 부등호 기호 앞뒤에 서로 다른 한 자릿수 숫자를 넣어서 모든 부등호 관계를 만족시키려고 한다. 예를 들어, 제시

www.acmicpc.net

문제

두 종류의 부등호 기호 ‘<’와 ‘>’가 k개 나열된 순서열 A가 있다. 우리는 이 부등호 기호 앞뒤에 서로 다른 한 자릿수 숫자를 넣어서 모든 부등호 관계를 만족시키려고 한다. 예를 들어, 제시된 부등호 순서열 A가 다음과 같다고 하자. 

A ⇒ < < < > < < > < >

부등호 기호 앞뒤에 넣을 수 있는 숫자는 0부터 9까지의 정수이며 선택된 숫자는 모두 달라야 한다. 아래는 부등호 순서열 A를 만족시키는 한 예이다. 

3 < 4 < 5 < 6 > 1 < 2 < 8 > 7 < 9 > 0

이 상황에서 부등호 기호를 제거한 뒤, 숫자를 모두 붙이면 하나의 수를 만들 수 있는데 이 수를 주어진 부등호 관계를 만족시키는 정수라고 한다. 그런데 주어진 부등호 관계를 만족하는 정수는 하나 이상 존재한다. 예를 들어 3456128790 뿐만 아니라 5689023174도 아래와 같이 부등호 관계 A를 만족시킨다. 

5 < 6 < 8 < 9 > 0 < 2 < 3 > 1 < 7 > 4

여러분은 제시된 k개의 부등호 순서를 만족하는 (k+1)자리의 정수 중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찾아야 한다. 앞서 설명한 대로 각 부등호의 앞뒤에 들어가는 숫자는 { 0, 1, 2, 3, 4, 5, 6, 7, 8, 9 }중에서 선택해야 하며 선택된 숫자는 모두 달라야 한다

입력

첫 줄에 부등호 문자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k가 주어진다. 그 다음 줄에는 k개의 부등호 기호가 하나의 공백을 두고 한 줄에 모두 제시된다. k의 범위는 2 ≤ k ≤ 9 이다. 

출력

여러분은 제시된 부등호 관계를 만족하는 k+1 자리의 최대, 최소 정수를 첫째 줄과 둘째 줄에 각각 출력해야 한다. 단 아래 예(1)과 같이 첫 자리가 0인 경우도 정수에 포함되어야 한다. 모든 입력에 답은 항상 존재하며 출력 정수는 하나의 문자열이 되도록 해야 한다. 

알고리즘 분류

풀이

간단한 순열 문제이다.

처음 값으로는 0~9 모두 넣는다.

갱신되는 값들을 result라고 할 때,

cur = result%10으로 현재 일의 자리 숫자를 구하여 <일 땐  cur 보다 큰 값들에 대해서만 탐색,

>일 땐 cur보다 작은 값들에 대해서만 탐색한다.

음.. 정말 순열 기본 문제라 순열을 모른다면 순열에 대한 공부를 먼저 하고, 순열을 안다면 그냥 코드를 보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코드

val br = System.`in`.bufferedReader()

fun getIntGraph() = br.readLine().split(' ').map { it.toInt() }
fun getInt() = br.readLine().toInt()
var minAns = Long.MAX_VALUE
var maxAns = 0L
var input =""
fun permutation(result: Long, idx: Int, visited: BooleanArray){
    if(idx==input.length){
        minAns= minAns.coerceAtMost(result)
        maxAns = maxAns.coerceAtLeast(result)
        return
    }
    for(i in 0 .. 9){
        if(visited[i]) continue
        val cur = result%10
        when(input[idx]){
            '<'->{
                if(cur>=i) continue
                visited[i] = true
                permutation(result*10+i, idx+1, visited)
            }
            else->{
                if(cur<=i) continue
                visited[i] = true
                permutation(result*10+i, idx+1, visited)
            }
        }
        visited[i] = false
    }
}

fun main() = with(System.out.bufferedWriter()){

    val k = getInt()
    input = br.readLine().replace(" ","")

    for(i in 0 .. 9) {
        val visited= BooleanArray(10)
        visited[i] = true
        permutation(i.toLong(), 0, visited)
    }

    write("${String.format("%0${k+1}d", maxAns)}\n${String.format("%0${k+1}d", minAns)}")

    close()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