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 문제 풀이/백준

백준 1931 회의실 배정 Kotlin (그리디)

by 옹구스투스 2022. 4. 13.
반응형

문제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1931

 

1931번: 회의실 배정

(1,4), (5,7), (8,11), (12,14) 를 이용할 수 있다.

www.acmicpc.net

문제

한 개의 회의실이 있는데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N개의 회의에 대하여 회의실 사용표를 만들려고 한다. 각 회의 I에 대해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져 있고, 각 회의가 겹치지 않게 하면서 회의실을 사용할 수 있는 회의의 최대 개수를 찾아보자. 단, 회의는 한번 시작하면 중간에 중단될 수 없으며 한 회의가 끝나는 것과 동시에 다음 회의가 시작될 수 있다. 회의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같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시작하자마자 끝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입력

첫째 줄에 회의의 수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1 줄까지 각 회의의 정보가 주어지는데 이것은 공백을 사이에 두고 회의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진다. 시작 시간과 끝나는 시간은 231-1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

출력

첫째 줄에 최대 사용할 수 있는 회의의 최대 개수를 출력한다.

힌트

(1,4), (5,7), (8,11), (12,14) 를 이용할 수 있다.

알고리즘 분류

풀이

정렬을 이용하여 그리디하게 푸는 문제이다.

startTime, endTime들이 주어질 때, endTime을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한다.

이후, endTime이 낮은 순으로 리스트를 탐색하며 현재 endTime보다 startTime이 앞선다면 스킵,

startTime이 현재 endTime 이상이라면 endTime을 갱신하고 답을 하나 추가한다.

이는 회의가 끝나는 시간이 빠른 회의부터 가능한 회의만 해 나가면 최적의 답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는 '탐욕법(그리디)' 풀이이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만약 startTime과 endTime이

5 5

5 5

3 5

같은 경우 답은 3이지만, endTime만 정렬한다면 위의 순서 그대로 탐색할 수 있기 때문에 답이 2가 나올 수도 있다.

이런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startTime ==endTime인 경우 startTime기준 오름차순도 해주자~!

 

코드1(Kotlin)

import java.util.*
val br = System.`in`.bufferedReader()

fun main() = with(System.out.bufferedWriter()){

    //input
    val n = br.readLine().toInt()
    //end시간 기준 오름차순, 같으면 start시간 기준 오름차순
    val pq = PriorityQueue<Pair<Int,Int>>{a,b -> when{
        a.second < b.second -> -1
        a.second == b.second -> {
            when{
                a.first < b.first -> -1
                else -> 1
            }
        }
        else -> 1
    }}

    repeat(n){
        val (from, to) = br.readLine().split(' ').map{it.toInt()}
        pq.add(Pair(from,to))
    }

    var cur=0
    var answer=0
    while(pq.isNotEmpty()){
        val (start,end) = pq.poll()
        if(start<cur)continue
        answer++
        cur=end
    }
    write("$answer")

    close()
}

코드2(c++)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bool cmp(const pair<int,int>a, const pair<int,int> b) {
	if (a.second == b.second)return a.first < b.first;
	else return a.second < b.second;
}

int main() {
	ios::sync_with_stdio(false);
	cin.tie(0);
	cout.tie(0);

	int n;
	int answer = 0;
	cin >> n;
	vector<pair<int, int>> vt(n);
	int end = 0;
	for (int i = 0; i < n; i++) {
		int a, b;
		cin >> a >> b;
		vt[i] = { a, b };
	}
	sort(vt.begin(), vt.end(), cmp);
	
	for (int i = 0; i < n; i++) {
		if (vt[i].first >= end) {
			answer++;
			end = vt[i].second;
		}
	}
	cout << answer;
	return 0;
}
반응형

댓글